Cryptocurrency

암호화폐(Cryptocurrency) 채굴의 문제점 (환경요인 경제적, 사회적 이슈)

xero1981 2025. 3. 7. 14:32

엄청난 전력 소비 및 탄소를 배출하는 환경적 이슈

그리고 사회적으로 불법 거래 활개

 

 

비트코인(BTC) 같은 메이저 코인의 채굴에는 강력한 컴퓨터(ASIC 채굴기)가 필요하며,지속적인 운영을 위해 막대한 전력이 요구된다.

  • 2023년 기준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연간 전력 소비량은 약 130~150TWh로, 이는 아르헨티나 한 나라의 전력 소비량과 비슷한 수준이다.
  • 이로 인해 막대한 탄소 배출이 발생하며, 특히 화석 연료 기반 국가에서 채굴할 경우 환경 오염이 심각해진다.

피해 사례

  • 2021년 중국이 암호화폐 채굴을 금지한 이유 중 하나가 전력 과소비와 환경 문제였다.
  • 미국 텍사스에서는 암호화폐 채굴장들이 몰리면서 전력망 과부하 문제가 발생해 정전 사태가 빈번해졌다.

 

2010년대 초반 (2010~2014) – 비트코인 채굴의 시작과 확장

 

2010년 – 첫 비트코인 채굴장 등장

  • 비트코인 가격이 낮아 개인 PC(일반 CPU) 및 노트북으로 채굴 가능 
  • 채굴이 본격화되면서 점점 더 고성능 GPU(그래픽카드) 사용 증가 그로 인한 그래픽 카드 가격 상승
  • 개인의 게임용 컴퓨터 업그레이드 비용 증가 (그래픽카드 수요폭 증가)

2013년 – ASIC 채굴기 등장 & 에너지 소비 증가

  • ASIC (전용 채굴기) 등장 → 기존 GPU보다 훨씬 높은 채굴 성능 제공
  • 전력 소비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일부 지역에서 채굴장의 전기 소모가 이슈화
내몽골 도시 오르도스의 유령도시 채굴장 사진

 

2014년 – 중국이 세계 최대 채굴 국가로 부상

  • 중국 채굴장 급증 → 값싼 석탄 기반 전력을 사용하여 환경오염 심화
  • 경제적으로는 채굴산업이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 산업으로 인식되기 시작

2015~2017년 – 채굴의 산업화 & 환경 문제 대두

 

2015년 – 전 세계 채굴 전력 소비 증가

  • 전 세계 채굴 전력 소비량이 급증하며 일부 국가에서 전력 공급 문제 발생
  • 중국과 아이슬란드, 조지아 등이 채굴업체의 주요 거점으로 자리 잡음

2016년 – 비트코인 2차 반감기 (보상 25 BTC → 12.5 BTC)

  • 채굴 난이도 상승으로 인해 개인 채굴자 감소
  • 대규모 채굴장이 점점 산업화되며 특정 국가(중국, 카자흐스탄)로 집중됨

2017년 – 비트코인 가격 폭등 & 채굴 경쟁 심화

  • 비트코인 가격이 $20,000 돌파 → 채굴 열풍 확산
  • 전 세계 비트코인 채굴 전력 소비량이 약 30TWh에 도달 (덴마크 전력 소비량과 비슷)
  • 채굴 장비(GPU, ASIC) 수요 증가로 그래픽카드 가격 폭등 → 일반 소비자 피해

2018~2020년 – 정부 규제 시작 & 사회적 문제 증가

2018년 – 채굴 전력 소비 50TWh 돌파 & 규제 강화

  • 비트코인 가격 하락 ($20,000 → $6,000) → 일부 채굴업체 도산
  • 중국, 미국, 인도, 유럽 일부 국가에서 전력 낭비 및 환경 문제로 채굴 규제 논의 시작
  • 이란, 카자흐스탄, 베네수엘라 등에서 불법 채굴 증가

2019년 – 이란 & 중국 채굴 규제 강화

  • 이란: 전력 부족으로 인해 불법 채굴장 단속 → 불법 채굴 전력 소비량이 300MW 초과
  • 중국: 채굴업체가 화석연료 기반 전력을 사용하여 탄소 배출 증가 → 일부 지역에서 채굴 금지 검토

2020년 – 비트코인 반감기 (12.5 BTC → 6.25 BTC)

  • 채굴 보상 감소 → 경쟁 심화 & 에너지 소비 증가
  •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채굴 장비 가격 폭등 & 전력 사용료 상승

2021~2023년 – 본격적인 규제와 환경적 논란

2021년 – 중국, 비트코인 채굴 전면 금지

  • 중국 정부, 비트코인 채굴 금지 선언 (전 세계 채굴의 70% 차지했던 중국에서 대거 철수)
  • 채굴업체들이 카자흐스탄, 미국, 러시아 등으로 이동
  • 채굴 전력 소비량이 약 130TWh 돌파 → 아르헨티나 연간 전력 소비량과 비슷

2022년 – 유럽 & 미국 채굴 규제 확대

  • 미국 뉴욕주: 새로운 화석연료 기반 채굴장 금지
  • 코소보: 전력 부족으로 암호화폐 채굴 전면 금지
  • 카자흐스탄: 채굴업체 급증으로 전력 부족 심화 → 정부가 전력 사용 규제
  • 이더리움(ETH)이 PoS (지분 증명) 전환에너지 소비 99.9% 절감

2023년 – 환경 논란 지속 & 탄소 배출 문제

  • 비트코인 채굴의 60% 이상이 여전히 화석연료 사용
  • 일부 국가에서 친환경 채굴(수력, 풍력 등) 시도하지만 한계가 있음
  • AI·데이터센터와 전력 경쟁 발생 → 클라우드 업체들(예: 마이크로소프트, 구글)이 전력 부족 문제 제기

2024년 이후 전망

2024년 – 비트코인 반감기 (6.25 BTC → 3.125 BTC 예정)

  • 채굴 수익성 감소로 전력 소비 감소 가능성
  • 정부 규제가 더욱 강화될 가능성 높음 (EU, 미국 중심으로 논의 진행 중)
  • PoW(작업 증명) 기반 암호화폐가 점점 더 어려운 상황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

2025년 이후 – 친환경 채굴 도입 & 채굴 산업 변화

  • 일부 기업들이 태양광, 풍력, 수력 등 친환경 에너지 기반 채굴장 운영 계획
  • PoS(지분 증명) 방식이 더 확산될 가능성이 높음
  • AI, 데이터센터와 전력 경쟁 심화 → 정부 차원의 정책 필요

결론

비트코인 채굴은 2010년대 초반부터 점점 산업화되며 전력 소비 및 환경 문제가 커졌어.
2021년 중국의 채굴 금지 이후, 채굴장이 카자흐스탄·미국 등으로 이동하며 새로운 사회적·경제적 문제를 발생시킴.
2022년 이더리움이 PoS 전환을 하면서 친환경적인 방향으로 가려는 움직임이 생겼지만, 비트코인은 여전히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음.
앞으로 친환경 채굴 도입 & 정부 규제 확대가 중요한 변화의 키포인트가 될 것으로 예상.

 
 


비트코인 채굴로 인한 지역 생태계 파괴

채굴장은 종종 값싼 전력을 찾아 수력 발전소 근처탄광 지역에 들어선다. 이로 인해 지역 생태계가 파괴되는 경우가 많다.

피해 사례

  • 카자흐스탄: 중국에서 채굴업자들이 대거 유입된 이후 전력 부족 사태가 심각해졌고, 정부는 산업용 전기 공급을 제한하기도 했다.
  • 아이슬란드: 저렴한 수력·지열 에너지를 사용하려는 채굴업체들이 몰리면서 지역 전력 인프라에 부담이 커졌다.

수자원 및 환경 오염

채굴 장비는 엄청난 열을 발생시키며, 이를 식히기 위해 냉각 시스템이 가동된다. 대량의 물을 사용하거나 공기 중으로 뜨거운 열을 방출하면서 지역 환경에 악영향을 끼친다.

피해 사례

  • 미국 뉴욕 세네카 호수: 채굴업체가 호수의 물을 냉각 용도로 사용하면서 수온이 상승, 생태계가 위협받았다.
  • 몽골 및 중국 내륙 지역: 석탄 발전소 인근에서 운영되는 채굴장이 많아, 채굴 과정에서 미세먼지와 유해가스가 배출되며 공기 오염이 증가했다.

전력망 불안정 & 정전 사태

대규모 채굴 시설이 특정 지역에 집중될 경우 전력망 부하 증가로 인해 정전이 발생할 수 있다.

피해 사례

  • 이란: 2019~2021년 사이, 불법 채굴장들로 인해 여러 차례 대규모 정전 사태가 발생했다. 결국 정부는 채굴을 금지했다.
  • 코소보: 2022년 전력난으로 인해 정부가 암호화폐 채굴을 전면 금지했다.

정부 규제 강화

이런 환경적 피해로 인해 여러 국가에서 암호화폐 채굴을 제한하거나 금지하는 추세다.

주요 규제 사례

  • 중국: 2021년 비트코인 채굴을 전면 금지.
  • 스웨덴: 유럽연합(EU)에 암호화폐 채굴을 금지할 것을 요청.
  • 미국 뉴욕주: 2022년, 새로운 화석 연료 기반 채굴장을 금지하는 법안 통과.

결론

메이저 코인 채굴은 과도한 전력 소비, 탄소 배출, 생태계 파괴, 전력망 불안정 등 여러 환경적 문제를 야기한다. 일부 국가는 친환경적인 채굴(재생 에너지 사용 등)을 시도하지만, 전 세계적인 지속 가능성에 대한 논란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이런 문제 때문에 PoW(작업 증명) 기반 암호화폐 채굴을 줄이고, PoS(지분 증명) 방식으로 전환하는 움직임도 커지고 있어. (예: 이더리움의 PoS 전환)

 

비트코인을 이용한 불법 거래 사례

비트코인은 익명성이 강하고 추적이 어려운 특성 때문에 다양한 불법 거래에 사용된 몇가지 대표적인 사례

 

크로드(Silk Road) 사건 (2011~2013)

  • 어떤 사건?
    • 실크로드는 다크웹에서 운영된 불법 온라인 마켓이야.
    • 주로 마약, 위조 신분증, 해킹 도구, 무기, 심지어 청부 살인 서비스까지 거래되었어.
    • 결제 수단으로 **비트코인(BTC)**을 사용했는데, 익명성이 높아 거래 추적이 어려웠어.
  • 어떻게 적발됐나?
    • 2013년 FBI가 운영자 '로스 울브리히트(Ross Ulbricht)'를 체포하면서 사이트가 폐쇄됨.
    • 26,000 BTC(당시 약 1억 달러 상당) 압수
    • 로스 울브리히트는 종신형 선고

마운트곡스(Mt. Gox) 해킹 사건 (2014년)

  • 어떤 사건?
    • 당시 세계 최대 비트코인 거래소였던 **마운트곡스(Mt. Gox)**가 85만 BTC(약 4.5억 달러 상당) 해킹으로 유실
    • 이 중 일부는 다크웹을 통해 불법 자금 세탁 및 범죄 거래에 사용되었어.
    • 마운트곡스는 파산했고, 사용자들은 돈을 잃었어.
  • 어떻게 적발됐나?
    • 2017년, 러시아 해커 **알렉산더 비닉(Alexander Vinnik)**이 BTC-e 거래소를 이용해 해킹된 비트코인을 세탁한 혐의로 체포됨
    • 일부 비트코인은 회수되었지만, 여전히 많은 코인이 행방불명 상태야.

랜섬웨어 공격 & 비트코인 몸값 요구

비트코인은 랜섬웨어 공격에서도 자주 사용되었어.

워너크라이(WannaCry) 사건 (2017년)

  • 어떤 사건?
    • 워너크라이는 전 세계 150개국, 20만 대 이상의 컴퓨터를 감염시킨 랜섬웨어
    • 파일을 암호화한 후 해커들이 비트코인으로 몸값을 요구
    • 피해를 입은 기관: 영국 NHS(국민보건서비스), 러시아 내무부, 페덱스 등
  • 어떻게 해결됐나?
    • 일부 피해자들이 비트코인을 지불했지만, 해커들이 끝까지 파일을 복구해 주지는 않았어.
    • 미국 FBI가 이 공격의 배후로 **북한의 해킹 조직 '라자루스 그룹'**을 지목.


다크웹 & 불법 자금 세탁

비트코인은 다크웹에서 불법 자금 세탁에 많이 사용됐어.

비트코인 믹싱 서비스 (Tumbler, Blender.io 등)

  • 비트코인 믹싱 서비스는 여러 사람의 비트코인을 섞어서 추적을 어렵게 만드는 기술이야.
  • 이를 통해 마약 자금, 해킹된 비트코인, 탈세 자금 등을 세탁하는 데 사용됨.

2020년, 비트코인 세탁 조직 적발

  • 미국 법무부는 2020년 100만 달러 이상의 불법 자금을 세탁한 비트코인 믹싱 조직을 적발
  • 다크웹에서 활동하며 북한, 러시아 해커들이 주로 이용

북한의 비트코인 해킹 & 불법 활동

북한 해커 조직들은 비트코인을 이용해 국제 제재를 회피하고 외화 벌이를 해왔어.

라자루스 그룹의 해킹 (2017~현재)

  • 사례
    • 2017년 워너크라이 랜섬웨어 공격
    • 2022년 Axie Infinity(게임)에서 6억 달러 상당의 암호화폐 해킹
    • 북한 정부는 이 비트코인을 무기 개발 자금으로 사용했다는 의혹
  • 미국 정부 대응
    • 2023년 미국과 UN이 북한의 암호화폐 해킹을 제재

결론 & 시사점

비트코인은 합법적인 용도로도 많이 사용되지만, 불법 거래와 연루된 사례도 많음
다크웹, 해킹, 자금 세탁, 랜섬웨어 등의 범죄에 활용됨
정부와 수사기관이 추적 기술을 발전시키면서 비트코인 범죄도 점점 단속 강화

'Cryptocurrenc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이 주식 시장에 상장하는 이유  (0) 2025.03.21
가상화폐공개 (initial coin offering)  (0) 2025.03.21
Verychat 마이닝  (1) 2025.03.15
Zypto Rewards 이벤트  (0) 2025.03.14
파이코인과 암호화 화폐의 다른점  (0) 2025.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