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

파이코인 채굴하기 STEP -3

xero1981 2025. 3. 7. 01:02

파이노드는 파이코인 메뉴 파이노드에서 추가 설정할수 있으며

노드 설정을 하면 기여도에 따라서 파이코인 채굴속도가 향상됩니다.

혼자 채굴하는 경우 레퍼럴이 없다고 해도 추천인이 본인밖에 없다고 해도

계속 노드를 돌리다 보면 추가 보상 받는 노드 보너스가 매우 좋습니다.

파이코인 노드 설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파이노드 다운로드

https://minepi.com/pi-blockchain/pi-node/

 

Pi Node

Learn how to download and run your own Pi Network Node.

minepi.com

 

파이 공홈에서 파이 노드 다운로드

윈도우 및 맥 OS 설치 프로그램 다운로드

도커 공홈에서 최신 도커 프로그램 다운로드

https://docker.com/

 

Docker: Accelerated Container Application Development

Docker is a platform designed to help developers build, share, and run container applications. We handle the tedious setup, so you can focus on the code.

www.docker.com

 

POWER SHELL 관리자 명령어를 통해서 입력을 합니다.

 

더보기

1차 명령어 (Linux용 Wimdows 하위 시스템 옵션 기능 사용 설정) 재시작 불필요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Microsoft-Windows-Subsystem-Linux /all /norestart

2차 명령어 (Virtual Machine 플랫폼 옵션 기능 사용 설정) 재시작 불필요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VirtualMachinePlatform /all /norestart

3차 명령어 (wsl2를 기본 버전으로 설정) 재시작 불필요
wsl --set-default-version 2

입력후

 

휴대폰의 파이앱 메뉴에서 노드 클릭하여

로그인 코드를 실행해서

로그인 코드를 입력후

 

파이노드를 설치 후 실행

 

노드 프로그램 실행시

체크 해제

Visit tech setup 클릭

 

install Docker 설치 및 컴퓨터 및 노트북 하단에 도커가 가동중인지 확인

윈도우 우측 하단 실행 아이콘에 도커 러닝이 실행여부 확인

 

오픈 공유기 포터 체크하여 31400-31409 포트 오픈되었는지 확인

공유기 설정은

저의 경우 넷기어 라우터 설정입니다

그외 기타 공유기 설정 도움말 및 검색을 통하셔서 추가 설정이 필요합니다

(공유기=라우터가 필요합니다)

 

돋보기(찾기) - 제어판- 고급설정 - 인바운드 규칙 (우클릭) - 새규칙만들기 - 포트 - 다음 - TCP - 특정 로컬 포트 - 31400 - 31409 - 다음 - 연결허용 - 다음 - 이름 (파이노드 포트 설정) 저장 완료

이제 기본적인 파이노드 설정이 끝났습니다.

파이노드 설정은 기본적으로 위의 방법 그대로 사용하시면 되시고

그외 IPTIME 같은 경우

 

내부 IP주소 192.168.0.2 번으로 생성하시고

TCP 외부 포트 101~101 -> 31400~31409

내부 포트 31400~31409 로 설정하시면 됩니다

자 이제 나머지 노드에 관한 간략한 추가 설명을 해드리겠습니다.

인커넥션에 카운트 숫자가 늘어난다는 것은 제 노드가 최신 블록체인 데이터를 갖고 있지만

쌓여져 있는 노드 데이터가 많지 않아서 동기화를 한다는것을 의미하겠죠

이미 Remove all blackchaion data 를 클릭을 해서 새로 갱신한 노드이니깐요

여기서 봐야 할 것은 진단정보에서

합의 컨테이너 활성화

노드 스위치 작동여부

컨센서스 컨테이너 가동여부

3가지를 봐야합니다

그리고 현재 상태창이 동기화가 되어 있는지,

프로토컬 버전은 최신화로 동기화 블록은 수초이전에 동기화가 되어있는지

아웃 커넥션에 8개의 데이터가 나가고 있는지 보시면됩니다.

지금 저의 경우 블록체인 데이터를 제거

(도커 데이터 이미지 삭제 후 새데이터 갱신이 진행중입니다.)

 

노드에서 처음 포트 체크 (CHECK NOW) 진행 하게 되면 10개의 포트가 작동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게 됩니다.

그리고 데이터 갱신이 완료가 되면 pi-network 컨테이너가 작동되면서

pi-port-checker 데이터는 중지가 됩니다.

이 데이터는 아래와 같이 노드 이미지 메뉴에 찾아보시면 보실수 있습니다.

 

노드 포트 테스트 파일은 74.55mb 5년전에 만들어진 31400-31409 포트 체크 파일이며

파이 노드 도커 파일은 프로토컬 19 라는 태그를 달고 한달전에 만들어져서 이미지 메뉴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파이노드 세팅 어렵지 않습니다.

기본적인 라우터(공유기)가 있어야 작동하는 부분이 있으며,

무료 와이파이 환경에서는 노드는 운영하여서는 안됩니다.

오래전에 레노버 P72 워크스테이션 노트북으로 노드를 돌렸었다가

이번에 델 프리시전 5750 워크스테이션 노트북으로 노드를 새로 돌리기 시작했습니다.

아무튼 모두들 도움이 되시기 바라면서 노드 세팅은 어려울게 없어요

번거롭게 IPCONFIG 나 IPCONFIG/ALL 명령까지 쳐가면서 하실 필요성은 없으십니다.

파이 노드 포트가 제대로 작동되는지 확인하고 싶다면

https://pi-mods.de/nodeports/

클릭하시기 바랍니다.

 

'Pi' 카테고리의 다른 글

Pi 보안서클 추가하기  (0) 2025.03.10
파이코인 채굴하기 STEP -5  (2) 2025.03.07
파이코인 채굴하기 STEP -4  (0) 2025.03.07
파이코인 채굴하기 STEP -2  (0) 2025.03.07
파이코인 채굴하기 STEP -1  (0) 2025.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