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10을 이용하다가
윈도우 11로 클린 설치를 하게 되면서 노트북의 D 드라이브가 갑작스럽게
BitLocker 잠김상태로 전환이 되어버렸네요
순간 뭐지 하면서 내가 BitLocker 기능을 사용했었나
단순하게 D 드라이브는 데이터 백업용 드라이브인데 M.2 드라이브 포멧을 할까 하던 찰나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에 들어가서 BitLocker 복구 키 백업이 되어진것을 보고
그나마 다행스럽게 풀었습니다.

보통 파일 저장이나 복구 키 인쇄 기능만 적용 되는거 같았는데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에 저장 기능이 있습니다
정품 이용자라면 계정에 저장하기를 클릭해서 저장해놓으시기 바랍니다.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 장치 - 정보 및 지원 - BitLocker 데이터 보호 (복구키 관리) 클릭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에 BitLocker 복구 키 저장이 되니
키 ID (8자리 영문숫자포함) 를 확인 후
복구키 48자리수를 입력하면 BitLocker 복구가 가능합니다
그 이외에 복구 방법은 usb에 저장하거나 출력하지 않은 이상
*데이터 손실 예상*
내 컴퓨터 - 관리 - 디스크 관리 - 포멧해서 초기화 하는수 밖에 없습니다
이상.
'Util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Pebble Watch 활성화 프로젝트 iOS 버전 (0) | 2025.03.16 |
---|---|
윈도우 11 우클릭 {추가 옵션 표시} 제거/복구 하기 (0) | 2025.03.16 |
Microsoft 계정 해킹으로 부터 보호하기 (0) | 2025.03.11 |
Google Authenticator 구글 일회용 인증 코드에서 리스트 제거 [+아이폰 해결 방법] (0) | 2025.03.07 |
고전 MS-DOS 부터 WINDOWS 3.1 그이상까지 (0) | 2025.03.07 |